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류승우 기자 | 한 세기 넘는 역사를 간직한 충남 예산군 대한성공회 예산교회가 다시 살아났다. 일제강점기 탄압 속에 문을 닫고, 해방 후 복원됐지만 인구 감소와 교인 이탈로 또다시 쇠락했던 이 교회가, 지역사회의 변화와 신자들의 노력으로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 속에서도 ‘작은 교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산교회의 여정을 조명한다. 일제 탄압, 문을 닫은 교회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조선 내 외국인 선교사들을 추방했다. ‘외국인의 입국, 체재 및 퇴거에 관한 건’(1939년)을 근거로 대한성공회도 타격을 입었고, 영국국교회의 영향을 받은 예산교회 역시 문을 닫아야 했다. 선교사들이 떠나며 교회는 폐쇄됐고, 운영하던 신명유치원마저 몰수됐다. 예산교회는 1917년 김만준 전도사가 세운 작은 예배당에서 시작해, 점차 교세를 확장하며 예산 최초의 유치원을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의 중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은 교회의 성장을 가로막았고, 교회는 긴 침묵에 들어갔다. 다시 열린 교회, 그러나 또다시 쇠락 예산교회는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방치됐다. 1968년 대한성공회가 사제를 파송하며 재건이 시작됐고,
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류승우 기자 |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화성 제암리 교회에서 일제의 잔혹한 학살로 23명이 순국했다. 신앙과 조국에 대한 충정을 바탕으로 끝까지 맞섰던 그들의 고귀한 희생은 오늘날 한국 교회와 국민에게 깊은 울림과 각성을 전하고 있다. 제암리 교회, 조국과 신앙을 위한 순교의 장 1905년 경기도 화성 제암리에 세워진 제암리 교회는 초기부터 기독교 복음 전파와 지역 사회 계몽의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아펜젤러 선교사의 영향을 받은 설립자 안종후는 지역 주민들에게 신앙과 애국 의식을 심어주었고, 이는 3·1운동 당시 주민들과 함께 일제의 억압에 맞서는 밑거름이 되었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기독교와 천도교가 힘을 모아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며, 일제의 잔혹한 보복을 피하지 않았다. 일제의 보복, 제암리 교회에서 벌어진 참극 3·1운동의 여파로 일제는 전국적인 독립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폭압적 조치를 강화했다. 1919년 4월 15일, 일본군은 제암리의 교회와 민가를 불태우고, 주민들을 교회에 집결시킨 후 총격과 방화를 가하는 학살을 자행했다. 현장에 모인 주민들 중 탈출을 시도한 이들은 교회 밖에서도 사살되었으며, 총 23명이 목숨을 잃
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류승우 기자 |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100년을 이어온 남대문교회는 한국 개신교의 뿌리와 같은 곳으로, 한국 교회의 초기 역사를 간직한 상징적 공간이다. 제중원에서 시작된 이 교회는 선교사들의 헌신과 함께 민족 운동의 중심지로 성장해 왔다. 한국 최초의 개신교 교회 중 하나로 자리 잡다 1885년 조선의 첫 정주 선교사로서 알렌이 서울에 발을 디딘 이후, 남대문교회는 한국에서 개신교 선교의 기틀을 다진 초기 교회로서 출발했다. 초기 선교사 알렌과 헤론, 언더우드, 아펜젤러 등이 함께 예배를 드리며 신앙 공동체를 세운 이곳은 제중원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알렌은 제중원에서 서양식 의료 활동을 시작하며 신앙을 전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고, 이후 남대문교회는 자연스럽게 한국 개신교의 중심지로 성장해 갔다. ‘민족 운동과 신앙의 중심지로서의 남대문교회 남대문교회는 단순히 신앙의 전파에 그치지 않고, 한국 민족 운동과 독립운동의 중심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3.1운동 당시 이 교회의 이갑성 집사를 비롯한 여러 지도자들이 독립운동의 선두에 서며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헌신했다. 또한 6.25 전쟁 이후에는 남하한 성도들이 남
공주, 감리교회의 첫 발걸음 기독교종합편성tv신문 김효미 기자 |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공주제일교회는 일제강점기 시절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으로 설립된 역사 깊은 교회다. 공주제일교회는 수원이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감리교회로, 1892년 미감리회는 서울 이남 지역을 수원과 공주로 나누어 선교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이를 위해 1893년 전도인 유치겸이 공주에 두 차례 파견되었고, 1896년에는 스크랜톤(W. B. Scranton) 선교사가 공주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899년, 스웨러(W. C. Swearer) 선교사가 공주지역 선교 내용을 보고하면서 본격적인 교회 설립의 발판을 마련했다. 공주제일교회의 개척과 초기 활동 1902년, 스웨러 선교사는 김동현 전도사를 파송하여 공주제일교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김 전도사는 공주 관찰부(현 반죽동) 앞에 집을 구입해 전도 활동을 시작하며 공주제일교회를 개척했다. 1903년, 원산에서 활동하던 의료 선교사 맥길(William. B. Mcgill)과 이용주 전도사가 공주에 와서 하리동(현 옥룡동)에 초가 두 채를 구입해 예배당과 진료소, 교육시설로 활용하며 본격적인 선교 활동을 펼쳤다. 초기 교